
장기차입금
[단위:백만원,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반기 |
---|---|---|---|---|---|---|
기초잔액 | 354,907 | 4,550,036 | 4,847,099 | 4,997,689 | 5,047,762 | 5,026,257 |
기말잔액 | 4,550,036 | 4,847,099 | 4,997,689 | 5,047,762 | 5,026,257 | 4,839,630 |
변동금액 | 4,195,129 | 297,063 | 150,590 | 50,073 | -21,505 | -186,627 |
변동사유 (차입목적) |
국민주택 기금차입 |
국민주택 차입금 |
국민주택 기금 이자발생, 대여학자금 수탁금 차입 |
국민주택 기금 이자발생, 대여장학금 수탁금 차입 |
유동성 재분류 |
주택도시 기금 차입금, 대여학자금 수탁금 상환 |
주요 차입형태 |
금융기관 차입 |
금융기관 차입 |
기타 이자비용 발생부채 |
기타 이자비용 발생부채 |
금융기관 차입 |
금융기관 외의 자로 부터의 차입 |
자기자본 대비비율 |
50.32 | 3.39 | 1.80 | 0.59 | -0.25 | -2.09 |
차입금 의존도 |
30.97 | 31.32 | 32.82 | 32.13 | 31.59 | 29.26 |
단기차입금
[단위:백만원,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반기 |
---|---|---|---|---|---|---|
기초잔액 | 28,433 | 19,500 | 1,825 | 13,687 | 25,201 | 8,978 |
기말잔액 | 19,500 | 1,825 | 13,687 | 25,201 | 8,978 | 2,331 |
변동금액 | -8,933 | -17,675 | 11,862 | 11,514 | -16,223 | -6,647 |
변동사유 (차입목적) |
국민주택 기금차입 |
유동성 대체 |
이주비 예수금 장기→단기 |
국민주택 기금 이자발생, 대여장학금 수탁금 차입 |
차입금상환 | 단기 이주비 예수금 상환 |
주요 차입형태 |
금융기관 차입 |
금융기관 차입 |
기타 이자비용 발생부채 |
기타 이자비용 발생부채 |
금융기관 차입 |
금융기관 차입 |
자기자본 대비비율 |
-0.11 | -0.20 | 0.14 | 0.14 | -0.19 | -0.07 |
차입금 의존도 |
0.13 | 0.01 | 0.09 | 0.16 | 0.06 | 0.01 |
- [공통공개기준]
- 차입기간이 1년 이상이면 장기, 1년 미만이면 단기로 구분
- 변동금액 : 기말잔액에서 기초잔액을 차감한 금액
- 자기자본대비비율 : 변동금액이 자기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중(백분율)
- 차입금의존도 : 총자본 중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 비중(백분율)
- [기관 세부 작성기준]
- 자기자본은 연금(퇴직수당)충당부채를 제외한 공무원연금기금으로 공시된 요약대차대조표(또는 요약재무상태표)의 연금충당부채 제외한 경우의 순자산 총계임.
※ 연금(퇴직수당)충당부채 제외 사유
- 연금(퇴직수당)충당부채는 현금흐름이 발생되지 않는 국가부채임.
- 공단 재무활동의 현금흐름에 대한 유용한 정보와 타기관 비교등을 위하여
연금(퇴직수당)충당부채 제외한 경우로 적용 - 차입금의존도는 총자산 대비 기말금액 비율임(반기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