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

보 도 자 료

배포일시

2012. 10. 19.(금)

담당부서

주택사업실장 박노종

(부장 심재월 / 02-560-2536)

배포부서

홍보실장 맹민호

(차장 정태범 / 02-560-2097)

 

세종시표 기러기 공무원들 주거지원 나서

공무원연금공단, 10월18일 임대주택 배정

신축 중인 임대주택은 2013년 말부터 공급

연금대출 5천만원으로 증액하고 상환기간 7년까지 연장

 

“저희 기관은 12월 크리스마스 무렵에 세종시로 가요. 하지만

아파트 입주까지는 1~2년은 기다려야 해요. 애가 타서 지난 주말엔

대전지역을 다녀봤어요. 글쎄, 서너 달 사이에 전세금이 삼사천만원이나

올랐는데도 방을 구할 수가 없더라고요. 걱정이 태산이었죠. 때마침

가뭄의 단비처럼 공단이 임대주택을 마련해줘 한 시름 덜었어요.”

10월18일 공무원연금공단의 세종시 이주 공무원을 위한 임대주택

동․호수 추첨배정 때 만난 한 공무원의 말이다. 기관이전 날짜는

하루하루 다가오는데, 당장 잠잘 곳조차 구할 수 없어 애 태우고

있는 소속 기관 공무원들의 고민을 덜어줄 수 있어 다행이란

표정이 역력하다. 다른 참석자들도 마찬가지다.

지역별 동호수 배정은 금년 내에 세종시로 옮겨가는 국무총리실 등

6개 부처의 운영지원과 이전담당 공무원들 입회하에 전산추첨으로

실시됐다. 이에 앞서 공단은 대전지역 공무원임대주택 238세대와

LH공사에서 관리위탁 받은 세종시 첫마을의 임대주택 130세대 등

총 368세대(1,073실)를 확보하고, 9월26일부터 10월10일까지 올해 내에

세종시로 이주하는 공무원들 중 단신이주를 희망한 1,067명을 대상

으로 입주신청을 받았다.

총 296세대 483명이 신청했다. 기관별로는 국무총리실 15세대,

기획재정부 61세대, 국토해양부 83세대, 농림수산식품부 60세대,

환경부 47세대, 공정거래위원회 30세대였다. 직급별로는 3급이상 57명,

4~5급 과장․사무관 197명으로 신청자의 절반을 넘었다. 주로 중고생

자녀를 둔 사무관 이상의 중장년층 공무원들이 ‘나홀로’ 이주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세종시표 기러기 공무원들인 셈이다.

안양호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은 “기관이전 시기와 분양 아파트의

입주시기가 달라 거처를 구하지 못해 애태우는 공무원들의 고충을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헤아려 다각적인 지원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잔여 46세대에 대해서도 기간을 연장하여 선착순으로 연말까지

입주신청을 계속 받도록 했다. 입주신청은 소속기관 운영지원과에 하면

된다.

이와는 별도로 공단은 2013년 이후에 세종시로 옮겨가는 공무원들

위해 총 1,661세대의 임대주택을 건립하여 공급한다. 1단계는 정부세종

청사 옆 M2블럭6개동 632세대를 건립한다. 이곳은 청사까지 도보로

5분이내 거리라 단신 이주 공무원을 실수요층으로 삼았다. 그래서 전용

면적 기준 34㎡의 원룸형이 176세대나 공급된다. 나머지는 신혼부부를 위한

59㎡형 138세대와 70㎡의 가족형 318세대로 짓는다. 입주시기는 2013년12월이다.

또한 2단계로 세종시의 8학군으로 불리는 교육시설 지역인 M5블록에

600세대(36㎡의 원룸형 208세대, 46㎡형 308세대, 59㎡형 84세대)와 M6블록에

429세대(74㎡형 152세대, 84㎡형 277세대)의 임대주택 건립공사를 지난 4월에

착공했다. 여기에는 가족동반형 이주자를 실수요층으로 보아 중형 아파트를

많이 짓는다. 입주시기는 2014년 6월로 잡고 있다.

한편 공단은 세종시로 옮겨가는 공무원들에게 주거이전에 필요한

생활안정자금으로 금년 1월부터 연금대출 한도액을 2천만원에서 5천만원

으로 증액하고 상환기간도 최장 5년에7년 이내로 연장하여 시행하고 있다.

10월 현재 1천여명의 공무원이 206억원의 대출을 받아 갔다.

 

  사진설명 : 세종시 이전기관 동호수 추첨

공공누리마크
공무원연금공단에서 제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변경금지,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혁신기획실   전화번호: 1588-4321
※기타 문의사항은 "고객참여와 상담 > 국민제안"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국민제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