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기간
검색정렬
검색어 '연금수급자 사망 신고' 에 대한 검색결과가 19 건 있습니다.
자주 찾는 질문
(검색결과 3건)
-
장해연금을 받고 있는 자가 사망하게 되면 신고절차 및 장해유족연금은 어떻게 되나요? 2018-07-26
... 장해연금 수급자 사망시 공무원 재해보상법상 유족이 있을 경우에는 ...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제85조에 따른 사망신고의무자는 연금수급권상실신고서(재해보상서식)를 공단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공무원 재해보상법 시행령 제42조 ...
-
연금수급자가 유족없이 사망했을 때도 공단에 신고해야 되나요? 2018-07-26
□ 연금수급자가 사망한 경우 사망한 사실을 사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공단에 알려주셔야 합니다.(공무원연금법 시행령 제43조, 제53조)□ 사망자의 가족관계기록사항에 관한 증명서 중 가족관계증명서와 기본증명서 또는 사망진단서를 공단에 30일 이내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
퇴직연금수급자가 연금개시를 하고 3년 이내에 유족이 없이 사망할 경우 연금은 어떻게 되나요? 2018-07-26
... 퇴직연금수급자가 연금개시 3년 이내에 사망하여 공무원연금법상 유족이 없는 경우에 ... 5년 이내 · 구비서류 : 연금수급권 상실신고서 및 특례급여청구서, 사망자의 사망진단서 또는 기본증명서, 사망자의 가족관계증명서, 유족대표자 선정서(동순위 유족이 2인 이상인 경우 ...
웹페이지
(검색결과 16건)
-
연금승계 2023-01-17
연금승계 개요와 범위 유족순위 유족연금 감액 유족연금수급권 상실 급여지급 특례 10년이상 재직한 공무원이 재직중에 사망하거나 퇴직연금수급자 또는 장해연금수급자가 사망한 때에는 그 유족에게 매월 유족연금을 지급합니다. 퇴직연금 또는 장해연금의 60% 수급 유족연금특별부가금 퇴직연금수급자가 퇴직후 3년 이내에 사망한 경우 그 유족에게 유족연금과는 별도로 ...
사업안내 > 연금사업 > 연금수급 > 연금승계
-
급여의 환수 2023-01-10
급여의 환수 급여종류 및 지급액산정 급여의제한 급여의 환수 퇴직소득과세 환수발생사유 (공무원연금법 제37조제1항) 부정한 방법으로 급여를 받은 경우(제1호) 급여를 받은 후 그 급여의 사유가 소급하여 소멸된 경우(제2호) 예시) 파면 또는 해임처분을 받은 자가 퇴직급여를 청구하여 지급받은 후 소청심사위원회의 결정 또는 법원의 판결에 의하여 그 처분이 취소되어 ...
사업안내 > 연금사업 > 퇴직급여 > 급여의 환수
-
서비스헌장 2023-01-09
서비스헌장 우리는 "믿음직한 평생동행" 의 서비스 슬로건 아래 고객만족을 최고의 경영가치로 삼아, 고객으로부터 신뢰받는 공단이 되도록 정성을 다하겠습니다. 하나. 우리는 원칙 준수 및 투명한 업무처리를 통해 전문적인 서비스 를 일관성 있게 제공하겠습니다. 하나. 우리는 고객이 필요한 시기에 적정한 서비스 를 정확하게 제공하겠습니다. 하나. 우리는 고객처럼 ...
공단소개 > 우리공단은 > 서비스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