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소식

                     연금(근로)소득 연말정산시 배우자 및 부양가족이
     연금수급자일 경우 부양가족 소득공제 대상여부에 대하여

▣ 연금(근로)소득 연말정산시 배우자 및 부양가족 공제기준
  - 연간 소득금액이 없거나 연간 소득금액의 합계액이 연 1,000,000원
    미만의 소득자로서
  - 배우자의 경우는 연령제한이 없으나, 부양가족 공제의 경우에는
    남자는 60세 이상, 여자는 55세 이상인 경우에 한함

  《연간 소득금액 100만원이란?》
    °종합소득금액(이자·배당·부동산임대·사업·근로·일시재산·연금·기타소득)과 퇴직소득·양도소득·
산림소득금액을 포함하여 과세대상소득액을 산정 후 해당소득 필요경비 또는 소득공제액을 차감한 금액(과세표준액)임
      ex) 사업소득의 경우 필요경비, 근로·연금소득의 경우 해당소득공제액 등

  ▣ 연금수급자가 배우자 및 부양가족일 경우 소득공제 해당여부
  -우리공단에서 퇴직 후 지급받는 퇴직 및 연금소득의 경우 총 재직기간중 2002년 이후 공무원 재직 중 기여금 납부기간에 대하여만 과세대상 소득액으로 산정토록 되어있음.

  - 이에 따라, 퇴직 후 지급 받는 소득액에 대하여 아래 산식에 의해 산정된 과세대상 소득액에서 해당 소득공제액을 차감 한 후 산정된 과세표준액이 연간 1,000,000원 미만인 경우(연금소득 과세대상액이 4,100,000원 이하인 경우)에는 배우자 또는 부양가족 소득공제 대상이 되어 현재까지는 모두 해당이 됨.

 ※ '02년 이전 퇴직자(연금수급자)의 경우 '02년이후 재직중 기여금 납입액이  없으므로 소득액의 전액이 비과세 소득에 해당되어 모두 배우자 또는 부양 가족 소득공제 대상이 됨.

○ 과세대상 소득액 산정(소득세법 시행령 제40조의 3, 제42조의 2)
  - 대상소득 : 퇴직소득(퇴직일시금·공제일시금·퇴직수당), 연금소득(퇴직연금)
  - 산출방법 

 

     해당소득액                                 *      '02년이후 기여금 납입월수        
 (연금소득의 경우연간 총지급액)                 총재직월수(연금법상)

 

 

○ 소득공제액 산정 (소득세법 제47조의 2, 제48조)    

구 분

 소득공제액 산식

퇴직소득

 

① 퇴직급여소득의 45%
② 근속연수별 공제(근속연수 계산시1년미만은 1년으로 함)
 ° 5년이하 : 30만원 × 근속년수
 ° 5년초과~10년이하 : 150만원+50만원 × (근속년수-5년)
 ° 10초과~20년이하: 400만원+80만원 × (근속년수-10년)
 ° 20년초과 :1200만원+120만원 × (근속년수- 20년)

연금소득

  ° 350만원(과세대상연금액) 이하 : 전액
  ° 350만원초과 700만원이하:350만원+(350만원초과 ×40%) 
  ° 700만원초과1400만원이하: 490만원+(700만원초과 ×20%)
  ° 1400만원초과 : 630만원 + (1400만원초과×10%)

        


 

 

공공누리마크
공무원연금공단에서 제작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변경금지,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의 내용과 사용 편의성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연금관리실   전화번호: 1588-4321


  • 유튜브
  • 블로그
  •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